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롯데 자이언츠/2024년

덤프버전 :

||
[ 펼치기 · 접기 ]

19821983198419851986
5위6위1위
[[1984년 한국시리즈|{{{#white,#191919 }}}]]
2위5위
19871988198919901991
3위3위7위6위4위
19921993199419951996
1위
{{{#ffffff 준PO}}}
{{{#ffffff PO}}}
[[1992년 한국시리즈|{{{#white,#191919 }}}]]
6위6위2위
5위
19971998199920002001
8위8위2위
4위
8위
20022003200420052006
8위8위8위5위7위
20072008200920102011
7위3위
4위
4위
3위
20122013201420152016
4위
5위7위8위8위
20172018201920202021
3위
7위10위7위8위
20222023202420252026
8위7위
: 우승: 준우승 | : 포스트시즌 진출




롯데 자이언츠 2024년 페넌트레이스 월별 진행 결과
시범경기3~4월5월6월7월8월9월

◀ 2023 시즌롯데 자이언츠 2024 시즌2025 시즌 ▶
||
2024 캐치프레이즈
구장경기 수전체 관중 수평균 관중 수총 관중 순위
사직/울산 야구장71000 / 10
순위승차승률
0 / 100000.00.000

1. 시즌 전
1.1. 팀 분위기 및 전망
1.1.1. 투수진
1.1.2. 야수진
2. 페넌트레이스
2.1. 전적
2.1.1. 월별 전적
2.1.2. 상대팀 별 전적
2.1.3. 요일별 전적
2.1.4. 구장별 전적
2.2. 경기취소
3. 기록
3.1. 정규시즌 팀 기록
3.2. 정규시즌 팀 달성 기록
3.3. 정규시즌 개인 달성 기록
3.4. 오프시즌 수상자 기록
3.5. 코칭스태프
3.6. 선수 이동 및 영입
4. 주요 사건
5. 퓨처스리그
6. 2025 KBO 신인드래프트
6.1. 신인선수 명단
7. 시즌 최종 및 마감, 총평
7.1. 페넌트레이스 총평
7.2. 오프시즌 해결과제
8. 둘러보기



1. 시즌 전[편집]



1.1. 팀 분위기 및 전망[편집]



1.1.1. 투수진[편집]



선발 자원은 외국인 2명의 투수[1]아시안게임을 다녀온 두 국내 에이스 박세웅, 나균안까지는 확정적이고, 남은 5선발 자리를 kt와의 트레이드 이후 선발-계투진을 오가며 좋은 활약을 보여준 심재민, 만족스러운 모습은 아니지만 5선발이라면 맡겨볼만하고 LG가 상대라면 좋은 모습을 보여주는 이인복, 그리고 부진하긴 하지만 한화를 상대로는 무적의 모습을 보여주는 한현희와 2024년 1라운더 전미르 4명이 경쟁할 것으로 보인다. 5선발 후보들은 경우에 따라 롱 릴리프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필승조 자원은 구-최-김에 김상수가 올해와 같은 모습만 꾸준히 보여준다면 필승조로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롯데는 한 명 정도의 좌완 투수를 발굴할 필요는 있다.[2] 또한 2023시즌 성적은 아쉽지만 2022시즌 핵심 불펜으로 활약한 김도규, 2023시즌 4월 5월에 좋은 모습을 보여준 김진욱과 6월에 활약한 최이준 그리고 시즌 막바지에 올라와서 인상적인 활약을 보여준 우강훈의 활약과 상무에서 필승조로 활약한뒤 제대하는 정우준, 즉전감으로 뽑은 2라운더 정현수의 활약도 기대할수 있다.


2023 시즌 30세이브를 달성한, 롯데 구단 최초로 순수 100세이브를 달성한 말이 필요 없는 마무리 투수로 2024시즌에도 롯데의 뒷문을 막을것으로 예상된다.

1.1.2. 야수진[편집]



전반기에는 커리어 로우일 정도로 안 좋은 모습을 보였지만, 후반기 타격이 살아나면서 기대했던 만큼의 성적을 보이며 작년 FA 3인방 중 가장 높은 WAR을 기록하고 있기에 주전은 유강남이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백업으로는 MLB급 도루저지를 보여준 손성빈이나, 지난 5년 간의 타격 부진에서 드디어 타격에 눈을 뜬 정보근의 3포수 체제로 갈 것으로 보여진다. 특히, 손성빈은 윌커슨의 전담 포수로서 좋은 모습을 보여주었기에 포수진은 유연하게 운영될 것으로 보인다.

포수 자원: 유강남, 정보근, 손성빈


상무에서 제대하고 2024시즌부터 합류하는 나승엽, 2024시즌 역시 내-외야를 오고 갈 것으로 보이는 고승민[3], 이 두 명이서 1루 주전을 경쟁할 것으로 보인다. 정훈도 노쇠화로 대타 출장 외에는 풀 타임 주전은 힘들어 보이기에 포지션은 가장 경쟁이 많은 포지션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일단 주전은 나승엽이 차지할 것으로 보인다.[4][5]

1루수 자원: 나승엽, 정훈, 고승민[A]

, 한동희, 안치홍, 전준우


2루수에서는 안치홍이 중심을 잡아주어야 한다.[6] 정대선을 주전으로 세우기에는 아직 경험치가 너무 부족하기에, 안치홍의 백업으로 1년 더 경험을 쌓아 2025 시즌부터 주전으로 차차 자리를 잡아야 한다. 그러나, 안치홍의 수비 범위가 급격하게 좁아진다면 안치홍이 1루로 이동, 정대선이 주전으로 나서야 한다.

2루수 자원: 안치홍, 정대선, 박승욱[B]


3루수는 결국에 한동희가 주전으로서 맡아주어야 할 자리이다. 그러나, 나승엽이 군대를 제대할 것이고, 한동희의 지난 시즌 수비력도 최악이었기에 나승엽이 주전을 맡을 가능성도 있어 보인다.[7]

3루수 자원: 한동희, 이학주[B]

, 박승욱[B], 나승엽, 김민수


주전 유격수는 부상이 발생하지 않는 이상 노진혁이 차지할 것이고, 백업으로는 육성선수로서 좋은 모습을 보여준 배영빈, 유격-3루 백업으로 작년 시즌 자주 출장한 이학주, 내야 올라운더 박승욱이 있다.

유격수 자원: 노진혁, 배영빈, 이학주[B]

, 박승욱[B]


안권수가 일본으로 돌아감에 따라 좌익수는 후반기 깜짝 활약을 보여준 이정훈이 맡을 것으로 예상된다. 시즌 중에 좌익수 자리에서 아쉬운 수비를 보여준 적이 많았기에 이정훈은 오프 시즌 동안 외야수비를 집중해서 내년 1군에서 선발 좌익수 자리를 잡아줘야 한다. [8][9] 또한, 작년 시즌 중견수-우익수의 가능성을 보여준 김민석과 윤동희는 그대로 주전으로 자리를 잡을 것으로 보인다. [10] 백업으로는 작년 아쉬운 성적을 기록한 고승민황성빈-장두성-김동혁의 외야 올라운더들이 있다.

좌익수 자원: 이정훈, 전준우, 황성빈

중견수 자원: 김민석, 장두성, 황성빈, 김동혁

우익수 자원: 윤동희, 고승민[A]

, 김동혁


전준우는 나이를 감안하면 타격에 집중하는 것이 맞지만, 작년과 마찬가지로 올해 역시도 외야수들에서 부상이 생기거나 부진한 선수가 생길 경우 좌익수로 출전할 가능성도 많다.[11] 무엇보다 이정훈이 좌익수로 완벽하게 자리를 잡는지 여부에 따라 지명타자 출장 여부가 갈릴 것으로 보인다.[12] 또한 투타겸업 전미르가 1군에 데뷔하게 되면 체력안배를 위해 지명타자로 나설 때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지명타자 자원: 전준우, 정훈, 안치홍, 이정훈, 전미르


1.2. 스토브리그[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롯데 자이언츠/2024년/스토브리그#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3. 시범경기[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롯데 자이언츠/2024년/시범경기#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 페넌트레이스[편집]



2.1. 전적[편집]


범주
짙은 회색압도적우세(≥.800)
청색절대우세(.650≤승률<.800)
하늘색우세(.550≤승률<.650)
녹색백중세(.450≤승률<.550)
오렌지색열세(.350≤승률<.450)
적색절대열세(.200< 승률<.350)
갈색압살(≤.200)


2.1.1. 월별 전적[편집]


롯데 자이언츠 2024 시즌 월별 성적
승 - 무 - 패순위승차승패마진승률
4월
/ 10
5월
/ 10
6월
/ 10
7월
/ 10
8월
/ 10
9월
/ 10
10월
/ 10
2024년 3월 일 팀순위 기준


2.1.1.1. 3~4월[편집]


2.1.1.2. 5월[편집]


2.1.1.3. 6월[편집]


2.1.1.4. 7월[편집]


2.1.1.5. 8월[편집]


2.1.1.6. 9월[편집]



2.1.2. 상대팀 별 전적[편집]



롯데 자이언츠 2024 시즌 팀별 상대 전적
상대 팀전적승률잔여경기승패마진비고[13]
SSG 16
키움 16
LG 16
kt 16
KIA 16
NC 16
삼성 16
두산 16
한화 16
144
순위 : / 10득점 - 실점 (득실차) :게임차 :
2024년 3월 30일 팀순위 기준



2.1.3. 요일별 전적[편집]



롯데 자이언츠 2024 시즌 요일별 전적
요일승 - 무 - 패승률승패마진
월요일
화요일
수요일
목요일
금요일
토요일
일요일
순위: / 10게임차 :
2024년 3월 30일 팀순위 기준



2.1.4. 구장별 전적[편집]


파란 글씨는 승리가 많은 경기장, 빨간 글씨는 패배가 많은 경기장, 초록 글씨는 동률인 경우다.

롯데 자이언츠 2024년 구장별 전적
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svg사직
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svg울산
파일:SSG 랜더스 엠블럼.svg문학
파일:키움 히어로즈 엠블럼.svg고척
파일:LG 트윈스 엠블럼.svg잠실
파일:kt wiz 엠블럼.svg수원
파일:KIA 타이거즈 엠블럼.svg광주
파일:NC 다이노스 홈 엠블럼.svg창원
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대구
파일:두산 베어스 엠블럼.svg잠실
파일:한화 이글스 엠블럼.svg대전
원정
최종성적
2024년 3월 30일 팀순위 기준



2.2. 경기취소[편집]


취소일홈/원정상대팀취소사유재편성일

3. 기록[편집]



3.1. 정규시즌 팀 기록[편집]


2024년 정규시즌 롯데 자이언츠 타격 기록
기록수치순위기록수치순위
타율/10득점권타율/10
출루율/10장타율/10
2루타/103루타/10
홈런/10타점/10
도루/10BABIP/10
타격 WAR/10OPS/10

2024년 정규시즌 롯데 자이언츠 투수 기록
기록수치순위기록수치순위
ERA/10QS/10
선발 ERA/10불펜 ERA/10
WHIP/10탈삼진/10
세이브/10홀드/10
이닝/10블론세이브/10
선발승/10구원승/10

3.2. 정규시즌 팀 달성 기록[편집]



3.3. 정규시즌 개인 달성 기록[편집]



3.4. 오프시즌 수상자 기록[편집]




3.5. 코칭스태프[편집]


IN
코치명신규 보직
OUT
코치명기존 보직

보직변경
코치명기존 보직변경된 보직

3.6. 선수 이동 및 영입[편집]


2024 시즌 중 군 전역선수 명단
선수명포지션복무 구분전역일
하혜성투수현역2024.4.30.
엄장윤포수현역2024.6.11
추재현외야수파일:국군체육부대 부대마크.svg2024.7.15
2024 시즌 중 군 입대선수 명단
선수명포지션복무 구분입대일

2024 시즌 중 트레이드 선수
날짜 원소속팀 선수 포지션 원소속팀 선수 포지션
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svg
-

2024 시즌 중 은퇴, 방출, 임의탈퇴 명단
선수명포지션공시 구분공시일

2024 시즌 대체 외국인 선수 영입
선수명포지션총액계약일

4. 주요 사건[편집]



5. 퓨처스리그[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롯데 자이언츠/2군#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롯데 자이언츠 2024 시즌 퓨쳐스리그
2024 캐치프레이즈
퓨처스리그 성적
순위승차승률
/ 6
4월 성적
최근 경기VS
다음 경기VS
2024년 3월 ?일 팀순위 기준, 2군 공식 홈페이지



6. 2025 KBO 신인드래프트[편집]



6.1. 신인선수 명단[편집]


2025 신인 드래프트 지명자 명단
순위지명자출신학교포지션투구-타석계약금비고
1라운드
전체 3순위
2라운드
전체 13순위
3라운드
전체 23순위
4라운드
전체 33순위
5라운드
전체 43순위
6라운드
전체 53순위
7라운드
전체 63순위
-
8라운드
전체 73순위
9라운드
전체 83순위
10라운드
전체 93순위
11라운드
전체 103순위

7. 시즌 최종 및 마감, 총평[편집]



7.1. 페넌트레이스 총평[편집]



7.2. 오프시즌 해결과제[편집]



8. 둘러보기[편집]



||
[ 펼치기 · 접기 ]




[1] 물론 아직 재계약을 하진 않았다.[2] 작년 시즌 김진욱이 4~5월 좋은 모습을 보여준 만큼, 제구를 잡아 다시금 활약해준다면 심재민 역시 선발 좌완투수로서 이점을 가지면서 중간계투에서도 좌완 필승조가 하나 존재하게 되어 경쟁력이 향상될 것이다.[3] 2023시즌은 안권수 -렉스-황성빈으로 외야를 꾸리게 되면서 고승민의 자리가 없어 1루로 활용했지만 외야에 자리가 생기게 되면 다시 외야로만 뛸 가능성이 있다.[4] 물론 나승엽이 상무에서는 1루로 뛰었지만 팀 내부에서는 3루수로 키운다는 방향임으로 3루 수비 불가 판정을 받은 뒤에나 1루수로 출전할 것으로 보인다.[5] 외국인 선수를 1루로 데려오면 외국인 타자가 주전을 차지할 것으로 보이고 외국인 선수를 3루로 데려온다면 올해 니코 구드럼이 왔을 때 한동희가 1루로 뛴 것처럼 한동희도 경쟁에 가담할수도 있다.[A] A B 내-외야 유틸리티[6] 물론 FA신청후 롯데가 다시 안치홍과 재계약을 할 경우이다.노진혁 한현희는 잡고 안치홍을 놓치면...[B] A B C D E 내야 유틸리티 백업[7] 흠이 있다면 상무에서 나승엽은 1루수로 자주 출장했다는 것이다. 다만 팀에서는 3루수를 먼저 시도한다는 생각임으로 한동희가 다시 안좋은 성적을 기록한다면 나승엽이 3루 주전을 먹을 가능성이 높아질 것이다. 나승엽의 수비가 안좋다고 하더라도 한동희의 수비도 안 좋으니 차이가...[8] 당연히 타격 성적도 올해처럼 좋아야할것이다.[9] 전준우도 나이가 있는 만큼 이정훈이 좌익수 수비를 열심히 연습해서 자신의 자리로 만들어야 1군에서도 선발로 많이 출전할 수 있을 것이다.[10] 물론 2022시즌 아주 좋은 활약을 보여준 고승민이 다시 주전을 차지하거나 새로운 얼굴이 등장 또는 새로운 외국인 타자를 외야수로 데려올 경우에는 셋 중 한명이 주전에서 밀릴 가능성도 있다.[11] 물론 롯데가 전준우와 재계약을 한다는 가정이다.이것도 당연히...[12] 지난 시즌에도 이정훈이 1군에 등록된 이후 지명타자 출장이 많아지면서 전준우가 좌익수로 나서게 되었다.[13] 상대전적 동률시, 득실마진도 같이 기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8 03:26:52에 나무위키 롯데 자이언츠/2024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관련 문서